유퀴즈 곽지현 씨 편 보신 분 있나요?
주식이나 코인이 아닌 저축과 절약으로 26세에 자산 2억 원을 모았다고 하더라고요.
돈 앞에서 작아지는 저는 '주식? 부동산?'을 해야 하나 말아야 하나 생각만 하고 아무것도 하지 않았는데... 누군가는 열심히 저축을 해서 돈을 모으신 걸 보고 저도 개인적으로 반성을 많이 했습니다.
(그렇다고 당장 절약을 하는 건 아니지만;;;;)
🎯 곽지현 씨의 저축 실천 팁
- 월급을 받자마자 가장 먼저 일정 금액을 저축
- 자동이체를 걸어 강제 저축 루틴 만들기
- 지출 내역을 메모하면서 소비 습관 점검
- 작은 소비도 의식하며 가성비 소비 실천
🏦 초보자를 위한 저축 상품 가이드
상품명 | 특징 | 추천 대상 |
---|---|---|
자유적금 | 매달 자유롭게 금액 조절 가능 | 수입이 불규칙한 사람 |
정기적금 | 매달 일정 금액 정기 납입 | 규칙적인 저축 습관을 만들고 싶은 사람 |
연금저축펀드 | 세액공제 + 장기 투자 | 세금 절약하며 노후 준비하고 싶은 사람 |
IRP | 최고 세액공제 혜택 | 세금 혜택을 최대한 활용하고 싶은 사람 |
💰 노후 준비의 핵심: IRP vs 연금저축펀드
📊 한눈에 보는 비교표
구분 | IRP | 연금저축펀드 |
---|---|---|
가입 대상 | 누구나 (직장인/무직자 가능) | 누구나 |
납입 한도 | 연 1,800만원 | 연 1,200만원 |
세액공제 한도 | 연 900만원 | 연 600만원 |
합산 세액공제 | 최대 900만원 (둘 다 가입 시) | |
운용 방법 | 펀드, 예금, ETF 등 다양 | 펀드 중심 |
퇴직금 수령 | 가능 | 불가능 |
주식형 투자 한도 | 70%까지 제한 | 100% 가능 |
💡 세액공제 계산법
총 급여 5,500만 원 이하: 납입액의 16.5% 세액공제
총급여 5,500만 원 초과: 납입액의 13.2% 세액공제
예시: 연 600만원 납입 시 → 최대 99만 원 세금 환급!
🤔 결국 뭐가 더 좋은가요?
솔직히 말하면 IRP가 더 좋아요!
- 세액공제 한도가 더 크고 (900만원 vs 600만원)
- 퇴직금도 받을 수 있고
- 상품 선택권도 더 다양해요
다만 주식형 펀드에 100% 투자하고 싶다면 연금저축펀드도 고려해 볼 만해요.
🎯 IRP 정말 정복하기
📅 언제까지 넣고, 언제부터 받나요?
납입 기간:
- 시작: 언제든 가능
- 종료: 만 60세까지
- 중단: 언제든 가능 (재개도 가능)
수령 조건:
- 연금 수령: 만 55세 + 5년 이상 유지
- 일시금 수령: 만 55세부터 가능
- 중도인출: 특별한 경우만 가능 (세금 혜택 토해내야 함)
❓ 자주 묻는 질문들
Q: 무직자도 IRP 만들 수 있나요?
A: 네! 누구나 만들 수 있어요. 다만 소득이 있어야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.
Q: 중간에 돈이 급하면 뺄 수 있나요?
A: 가능하지만 세금 혜택을 토해내야 해요. 웬만하면 건드리지 마세요!
Q: 회사를 옮기면 어떻게 되나요?
A: 계좌는 그대로 유지돼요. 새 회사 퇴직금도 같은 계좌로 받을 수 있어요.
Q: 55세까지 기다려야 하나요?
A: 연금으로 받으려면 그래야 해요. 하지만 일시금으로는 더 일찍도 받을 수 있어요.
Q: IRP와 연금저축 둘 다 해야 하나요?
A: IRP 우선 추천해요! 세액공제 한도가 더 크거든요. 여유 있으면 연금저축 추가하셔도 좋아요.
🗺️ 단계별 실전 로드맵
💪 20대 - 기초 다지기
- 비상금 200-300만원 먼저 모으기 (적금 활용)
- IRP 계좌 개설해서 월 20-30만원씩 넣기
- 여유 생기면 주식형 펀드도 조금씩 시도
🎯 30대 - 본격 저축
- IRP 풀로 활용 (연 900만원 한도)
- 연금저축펀드 추가 가입 (연 300만원 더 공제받기 위해)
- 부동산이나 주식 진지하게 고민해볼 시기
🏆 40대 - 최적화
- 모든 세금 혜택 다 써먹기
- 안전 자산 비중 늘리기
- 실제 은퇴 계획 구체적으로 세우기
✨ 마무리: 작은 실천이 만드는 큰 변화
곽지현 씨처럼 하루아침에 바뀌지는 않지만, 꾸준한 실천이 핵심입니다.
"소비보다 저축이 먼저" - 이 한 문장만 기억하고 다음 월급부터 실천해 보세요!
완벽하지 않아도 괜찮아요. 월 10만 원 저축도 1년이면 120만 원, 10년이면 1,200만 원이거든요.
거기에 세금 혜택까지 받으면 더 커지고요.
1년 후 통장 잔고를 보면 깜짝 놀라실 거예요! 💪
📚 더 정확한 정보가 필요하다면
- 금융감독원 금융상품한눈에 - 모든 금융상품 비교
- 국민연금공단 - 연금 관련 공식 정보
- 금융위원회 - 정부 금융정책 확인
- 뱅크샐러드 - 쉬운 금융 정보
'오늘의 머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📊 재무제표 완전 정복 (2편) (0) | 2025.06.16 |
---|---|
📊 재무제표 완전 정복 (1편) (0) | 2025.06.13 |
투자 처음이라면? 주식•ETF•펀드 쉽게 시작하기 (0) | 2025.06.11 |
주식 기초 개념 완전 정복 (0) | 2025.06.10 |
5월 종합 소득세와 12월 연말 정산, 뭐가 다를까? (0) | 2025.05.2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