투자 처음이라면?
주식 • ETF • 펀드 쉽게 시작하기
📊 주식의 기본 분류
보통주 vs 우선주
🏛️ 보통주
- 의결권 있음 (경영 참여)
- 일반 배당
- 높은 변동성
👑 우선주
- 의결권 없음
- 우선 배당 (더 많이)
- 안정적 변동
💡 초보자 팁: 대부분의 개인투자자는 보통주에 투자합니다. 처음이라면 보통주부터 시작하세요.
시가총액별 분류
🏢
대형주
2조 원 이상
안정적
🏬
중형주
4천억~2조 원
균형 잡힌 성장
🏪
소형주
4천억 원 미만
고성장 가능
🎯 ETF가 뭐길래 초보자에게 좋다는 거야?
ETF = 여러 주식을 한 바구니에 담은 상품
마치 "주식 도시락"처럼 다양한 종목이 하나에 담겨있어요
✅ 장점
- 분산투자: 위험 분산 효과
- 소액 투자: 10만원으로도 시작
- 전문가 관리: 고민할 필요 없음
❌ 단점
- 관리비용: 연 0.1~0.8% 수수료
- 평균 수익: 시장 초과 어려움
- 선택권 없음: 원치 않는 종목 포함
인기 ETF
KODEX 200
초보 추천한국 대표 200개 기업
TIGER 코스닥150
성장형코스닥 상위 150개
💼 펀드 vs ETF, 뭐가 다른 거야?
펀드 = 전문가가 직접 종목 선택
ETF = 지수를 그대로 따라가기
🤔 선택 기준
펀드 선택: 소액 적립, 전문가 운용 원할 때
ETF 선택: 수수료 절약, 투명한 운용 원할 때
🎯 초보자를 위한 실전 투자 전략
🛡️ 안정형
KODEX 200 50%
채권형 펀드 30%
채권 ETF 20%
월 투자금: 10~30만원
🚀 성장형
주식형 펀드 40%
KODEX 200 30%
코스닥 150 20%
해외 ETF 10%
월 투자금: 30~100만원
💡 실전 예시 (월 50만 원 투자)
주식형 펀드
20만원 (40%)
KODEX 200
15만원 (30%)
코스닥 ETF
10만원 (20%)
개별 종목
5만원 (10%)
⚠️ 반드시 기억하세요!
- 모든 투자에는 원금 손실 위험이 있습니다
- 본인의 투자 성향과 위험 감수 능력을 충분히 고려하세요
- 한 번에 큰 돈을 투자하지 말고 분할 투자하세요
- 감정적으로 투자하지 말고 계획을 세워서 투자하세요
👀 다음 시간 미리 보기
다음은 "재무제표 보는 법과 종목 선택 기준"을 준비했어요. 복잡해 보이는 재무제표에서 핵심만 뽑아서
보는 방법과, 좋은 회사를 찾는 구체적인 기준들을 알려드릴게요!
'오늘의 머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📊 재무제표 완전 정복 (2편) (0) | 2025.06.16 |
---|---|
📊 재무제표 완전 정복 (1편) (0) | 2025.06.13 |
주식 기초 개념 완전 정복 (0) | 2025.06.10 |
티끌이라도 모아보자! 저축편 💰🦊 (0) | 2025.06.09 |
5월 종합 소득세와 12월 연말 정산, 뭐가 다를까? (0) | 2025.05.2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