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오늘의 머니

🏛️ 트럼프가 승인한 스테이블코인, 도대체 뭐길래?

by 라픽 2025. 7. 24.
🏛️ 트럼프가 승인한 스테이블코인, 도대체 뭐길래?
2025년 7월 18일, 트럼프 대통령이 '지니어스 법(GENIUS Act)'에 서명했습니다. 이 법은 스테이블코인이라는 암호화폐를 미국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규제하는 내용을 담고 있어요. 그런데 스테이블코인이 뭐고, 왜 갑자기 대통령이 나서서 승인했을까요?
🤔 스테이블코인이 뭔가요?
쉽게 말하면 "디지털 달러"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!
일반적인 암호화폐(비트코인, 이더리움 등)는 가격이 하루에도 10% 이상 오르락내리락하죠? 그런데 스테이블코인은 이름 그대로 '안정적(Stable)'인 코인이에요.
구분 비트코인 스테이블코인
가격 변동 하루 10-20% 변동 거의 변동 없음
기준 가치 시장에서 결정 1달러 = 1스테이블코인 고정
사용 목적 투자, 투기 결제, 송금, 거래
💡 핵심: 스테이블코인 1개 = 달러 1달러의 가치를 항상 유지해요. 마치 디지털 세계의 달러지폐 같은 거죠!
왜 갑자기 미국이 승인했을까?
이유는 바로 "달러 패권" 때문입니다. 경제 뉴스에서 자주 듣는 말이죠?
달러 패권이란?
전 세계 무역과 금융 거래에서 미국 달러가 가장 중요한 화폐로 사용되는 것을 말해요. 예를 들어 한국이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석유를 사도 달러로 결제하죠.
문제 상황: 중국이 디지털 위안화(CBDC)를 만들면서 달러의 지위를 위협하고 있어요.
트럼프의 전략:
"그럼 우리도 디지털 달러를 만들자! 스테이블코인이 전 세계에서 더 많이 쓰이면, 달러 수요가 늘어나고 우리가 계속 경제 대장이 될 수 있어!"
실제로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은 "스테이블코인이 미 국채 수요를 수조 달러 늘릴 것"이라고 말했어요. 왜냐하면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려면 그만큼 달러나 미국 국채를 담보로 맡겨둬야 하거든요.
💰 스테이블코인 시장이 얼마나 클까?
현재 전 세계 스테이블코인 시장 규모는 약 2,370억 달러(약 347조원)에 달해요. 그리고 매년 빠르게 성장하고 있죠.
회사 연간 수익 특징
테더(Tether) 130억 달러 (약 19조원) 세계 최대 스테이블코인 발행사
전체 시장 1년간 46% 성장 폭발적 성장세
번스타인이라는 미국 자산운용사는 스테이블코인 시장이 2026년까지 5,000억 달러(약 727조원)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발표했어요.
🏦 관련 경제 용어 정리
💡 법정통화 (Legal Tender)
국가가 공식적으로 인정한 화폐. 한국의 원화, 미국의 달러처럼 정부가 "이걸로 모든 거래를 해도 된다"고 보장하는 돈이에요.
💡 중앙은행디지털화폐 (CBDC)
중앙은행이 직접 발행하는 디지털 화폐. 중국의 디지털 위안화가 대표적. 민간 기업이 만드는 스테이블코인과는 달리 정부가 직접 관리해요.
💡 기축통화 (Reserve Currency)
전 세계적으로 가장 신뢰받아서 국제거래에 주로 쓰이는 화폐. 현재는 미국 달러가 전체 거래의 약 60%를 차지해요.
💡 시뇨리지 (Seigniorage)
화폐를 발행해서 얻는 이익. 예를 들어 1만원권을 만드는 데 드는 비용은 몇십 원인데, 1만원 가치로 사용할 수 있으니까 그 차이만큼 이익이 생기는 거예요.
🤷‍♂️ 그런데 문제는 없을까?
물론 문제점도 있어요. 가장 큰 우려는 "이해상충"입니다.
😱 논란의 핵심:
트럼프 대통령 가족이 운영하는 '월드리버티파이낸셜'이라는 회사에서 'USD1'이라는 자체 스테이블코인을 출시했어요. 즉, 대통령이 스테이블코인 법을 승인하면서 동시에 자기 가족 사업으로도 돈을 벌 수 있는 상황이 된 거죠.
또한 전문가들은 민간 기업에게 화폐 발행권을 주는 것이 "통화창출권"이라는 국가 고유 권한을 포기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하고 있어요.
우리나라에는 어떤 영향이?
미국이 스테이블코인을 공식 인정하면서 우리나라도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어요.
🏛️ 한국의 대응:
• 2025년 7월 중 더불어민주당에서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 법안 발의 예정
• 기준 자본금 10억원 이상 조건으로 검토 중
•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디지털자산 혁신 법안 논의 활발
투자자 관점에서는? 스테이블코인 관련 기업들(테더, 서클 등)의 주가가 주목받을 수 있고, 암호화폐 거래소들도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요.
🎯 핵심 정리
1. 스테이블코인 = 디지털 달러 (1달러 = 1스테이블코인 고정)
2. 미국의 목적 = 달러 패권 강화 (중국 견제)
3. 시장 규모 = 347조원 (2026년 727조원 전망)
4. 논란 = 트럼프 가족 이해상충
5. 한국도 관련 법안 준비 중
💭 생각해볼 점: 과연 민간 기업이 만드는 디지털 화폐가 국가 화폐와 경쟁하는 시대가 올까요? 그리고 그것이 우리에게 좋은 일일까요? 이런 변화 속에서 우리는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요?
※ 본 내용은 2025년 7월 기준 정보이며, 암호화폐 관련 규제와 시장 상황은 빠르게 변할 수 있습니다.